7급 공무원 연봉 (월급), 7급 공무원 시험 과목, 경쟁률

안정적인 직업과 합리적인 급여를 제공하는 7급 공무원. 2024년 기준 초봉 약 2,900만원에 시작하여 호봉이 오를수록 증가하는 급여 체계와 다양한 복리후생을 제공받을 수 있는 매력적인 직업입니다. 하지만 높은 경쟁률과 까다로운 시험 과정을 통과해야 하는 만큼, 철저한 준비가 필요합니다.

1. 7급 공무원 연봉 (월급)

1) 기본급여 체계

기본급여 정보

  • 신규임용 초임: 약 2,900만원 (본봉 기준)
  • 실수령액: 약 240-250만원 (세전 기준, 각종 수당 포함)
  • 연봉 범위: 1호봉 약 2,900만원 ~ 32호봉 약 6,800만원
  • 승진 시: 6급 승진 시 기본급 약 20% 인상

호봉 체계

  • 총 호봉 수: 1호봉 ~ 32호봉
  • 호봉 상승: 매년 1호봉씩 자동 상승
  • 호봉간 차이: 평균 10-15만원 (본봉 기준)

2) 수당 및 인센티브

기본 수당

  • 정액급식비: 월 14만원
  • 직급보조비: 월 25만원
  • 교통보조비: 월 20만원
  • 가족수당:
    • 배우자 4만원
    • 직계존속・자녀 2만원 (자녀 2인 제한)

특별 수당

  • 초과근무수당: 시간당 약 14,000원
  • 명절상여금: 연 2회, 기본급의 60%
  • 정근수당: 연 2회, 기본급의 50%
  • 성과상여금: 연 1회, 성과평가에 따라 차등지급

3) 복리후생 제도

휴가 및 연차

  • 연가: 연간 21일 (1년 미만은 월 1.75일)
  • 병가: 연간 60일
  • 공가: 법정 의무수행, 교육훈련 등 필요기간
  • 특별휴가: 결혼, 사망, 출산 등

퇴직 관련 혜택

  • 퇴직금: 평균임금 × 재직년수
  • 퇴직수당: 1년 이상 20년 미만 재직 시 기준소득월액 × 재직년수 × 1.5
  • 연금: 공무원연금 별도 적용

4) 기타 경제적 혜택

4대 보험 및 의료혜택

  • 건강보험: 공무원 본인 부담률 50% 감면
  • 공무원연금: 퇴직 후 연금 수령
  • 단체보험: 생명보험, 상해보험 가입

복지포인트

  • 기본포인트: 연간 400포인트 (1포인트=1,000원)
  • 근속포인트: 1년당 10포인트 추가
  • 가족포인트: 배우자 100포인트, 직계가족 1인당 50포인트
  • 사용범위: 건강관리, 자기계발, 여가활동 등

*본 내용은 인사혁신처 보수규정과 공무원보수공무원수당 등의 업무처리 기준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실제 급여는 근무지역, 부서, 개인 상황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공무원 준비생 고민 9급, 7급

2. 7급 공무원 하는일

1) 7급 공무원의 기본 직무

일반적 업무 특성

  • 중간관리자급 역할 수행
  • 6급 이상 상급자의 지시를 받아 실무 총괄
  • 8,9급 하위직급 업무 지도 및 관리
  • 정책과 실무를 연결하는 가교 역할

문서 작성 및 관리

  • 공문서 기안 및 검토
  • 보고서, 계획서 등 중요 문서 작성
  • 부서 내 문서 관리체계 운영
  • 정책 제안서 및 검토의견 작성

2) 직렬별 세부 업무

행정직

  • 일반행정:
    • 정책 집행 계획 수립
    • 민원사무 처리 및 관리
    • 각종 통계자료 분석・관리
  • 인사행정:
    • 인사기록 관리
    • 채용・승진 관련 업무
    • 교육훈련 계획 수립

기술직

  • 공업직:
    • 기술 정책 수립・집행
    • 시설물 안전진단 관리
    • 기술 규정 제・개정
  • 시설직:
    • 건축・토목 설계 검토
    • 공사 감독 및 준공검사
    • 시설물 유지보수 관리

3) 부서별 주요 업무

기획・예산 부서

  • 정책 기획:
    •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
    • 주요 정책사업 성과관리
    • 업무계획 수립 및 조정
  • 예산 관리:
    • 예산 편성 및 집행
    • 재정분석 및 성과평가
    • 예산 조정・통제

총무・인사 부서

  • 조직 관리:
    • 조직・정원 관리
    • 인사발령 실무
    • 복무규정 관리
  • 복무 관리:
    • 근태관리 시스템 운영
    • 직원 후생복지 관리
    • 교육훈련 실무

4) 대민 서비스 업무

민원 처리

  • 일반 민원:
    • 각종 증명서 발급
    • 민원 상담 및 안내
    • 민원처리 시스템 관리
  • 전문 민원:
    • 인・허가 관련 업무
    • 각종 등록・신고 처리
    • 법령 해석 및 적용

대민 소통

  • 정보 제공:
    • 행정정보 공개 업무
    • 주민설명회 운영
    • 보도자료 작성
  • 의견 수렴:
    • 주민 의견 수렴
    • 공청회 운영 지원
    • 민원분석 및 정책 반영

5) 행정 지원 업무

내부 행정

  • 회계 관리:
    • 지출품의 검토
    • 계약업무 실무
    • 예산집행 모니터링
  • 자산 관리:
    • 물품 구매・관리
    • 시설 유지보수 관리
    • 재물조사 실시

기록 관리

  • 문서 관리:
    • 공문서 분류・보관
    • 기록물 정리・이관
    • 보존문서 관리
  • 정보 관리:
    • 행정정보시스템 운영
    • 데이터베이스 관리
    • 정보보안 업무

*본 내용은 행정안전부, 인사혁신처, 각 지방자치단체의 직무기술서를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실제 업무는 배치된 부서와 기관의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7급 공무원 퇴사 이유

3. 7급 공무원 시험 정보

1) 기본 정보

응시 자격

  • 학력/경력: 학력 제한 없음
  • 연령: 만 20세 이상 (최소 연령만 제한)
  • 응시 횟수: 제한 없음
  • 국적: 대한민국 국적 보유자 (복수국적자 응시 가능)
  • 신체조건: 제한 없음

응시 제한 사항

  • 공무원 임용 결격사유가 있는 자
  • 공무원 퇴직자 중 재임용 제한기간이 경과되지 않은 자
  • 징계면직 후 5년이 경과되지 않은 자

2) 시험 과목 구성

필수 과목

  • 제1차 시험(선택형 필기)
    • 국어 (한문 포함)
    • 영어 (영어능력검정시험으로 대체)
    • 한국사 (한국사능력검정시험으로 대체)
  • 제2차 시험(선택형 필기)
    • 헌법
    • 행정법
    • 행정학
    • 경제학

영어 및 한국사 과목 대체 기준

  • 영어: TOEIC 700점, TOEFL(IBT) 90점, TEPS 340점, FLEX 625점, G-TELP 65점(level 2) 이상
  • 한국사: 한국사능력검정시험 2급 이상

3) 시험 절차 및 방법

시험 단계

  1. 제1차 시험: 공직적격성평가(PSAT)
  2. 제2차 시험: 전공과목 평가
  3. 제3차 시험: 면접시험

시험 접수 방법

  • 접수 사이트: 사이버국가고시센터(www.gosi.kr)
  • 제출 서류:
    • 응시원서 1부
    • 영어・한국사 성적 증명서
    • 가산점 관련 증빙서류 (해당자에 한함)

4) 가산점 제도

자격증 가산점

  • 정보화 자격증: 정보관리기술사(4%), 정보처리기사(3%), 정보처리산업기사(2%)
  • 직렬별 가산점:
    • 기술사・기능장(5%)
    • 기사・산업기사(3%)

취업지원대상자 가산점

  • 취업지원대상자: 과목별 만점의 5% 또는 10%
  • 의사상자: 과목별 만점의 3% 또는 5%

5) 합격자 결정 방법

차수별 합격 기준

  • 제1차 시험: 매 과목 40% 이상, 전 과목 평균 60% 이상 득점자 중 고득점자
  • 제2차 시험: 매 과목 40% 이상, 전 과목 평균 60% 이상 득점자 중 고득점자
  • 최종 합격자: 제2차 시험 성적 + 제3차 시험(면접) 성적 고득점자

추가 합격자 선발

  • 최종합격자가 임용되는 것을 포기하는 등의 사정으로 결원을 보충할 필요가 있을 때
  • 합격자 발표일로부터 6개월 이내
  • 제2차 시험 성적순으로 추가 합격자 결정

*본 내용은 인사혁신처와 사이버국가고시센터의 공식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세부 사항은 매년 발표되는 공고문을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4. 7급 공무원 시험 경쟁률

1) 최근 경쟁률 통계

연도별 경쟁률 추이

연도모집인원출원인원경쟁률최종합격인원
20231,538명71,259명46.3:11,492명
20221,602명73,294명45.8:11,557명
20211,677명78,365명46.7:11,623명
20201,524명69,894명45.9:11,498명

직렬별 경쟁률 (2023년 기준)

직렬모집인원출원인원경쟁률
행정직924명45,276명49.0:1
기술직412명18,248명44.3:1
세무직126명5,292명42.0:1
검찰직76명2,735명36.0:1

2) 시험 단계별 합격률

필기시험 합격률

구분응시인원합격인원합격률
1차 PSAT58,426명8,763명15.0%
2차 전공8,456명2,184명25.8%

면접시험 합격률

구분응시인원최종합격합격률
면접심사2,184명1,492명68.3%

3) 지역별 합격 현황

권역별 합격자 분포 (2023년)

지역모집인원최종합격경쟁률
수도권846명832명52.1:1
영남권298명285명43.2:1
충청권186명179명41.5:1
호남권164명156명40.8:1
강원권44명40명38.6:1

4) 시험 준비 기간 통계

합격자 평균 준비 기간

준비기간비율
1년 미만15.3%
1~2년42.7%
2~3년28.4%
3년 이상13.6%

합격자 평균 응시횟수

응시횟수비율
1회22.8%
2~3회45.6%
4~5회21.4%
6회 이상10.2%

출처: 본 통계는 인사혁신처 및 사이버국가고시센터의 공식 자료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실제 경쟁률과 합격률은 연도별, 직렬별, 지역별로 변동될 수 있습니다.

공무원 월급 실수령액 공개

5. 7급 공무원 현직자 근무 후기

1) 중앙부처 근무 후기

기획재정부 7급 A씨 (잡코리아, 2023)

  • “출퇴근 시간이 자유롭고 유연근무제가 잘 되어있어요. 코어타임(10시-4시)만 지키면 됩니다.”
  • “업무강도는 부서마다 매우 달라요. 예산실은 야근이 많지만, 일반 부서는 정시퇴근이 가능합니다.”
  • “신입이라 그런지 업무 배우는데 시간이 많이 걸렸어요. 공문서 작성이 특히 어려웠습니다.”

행정안전부 7급 B씨 (고시마당, 2023)

  • “서울청사 근무중입니다. 통근버스가 있어서 출퇴근이 편해요.”
  • “일이 갑자기 몰릴 때가 있는데, 그럴 때는 야근도 합니다. 보통 국회 업무가 있을 때예요.”
  • “초과근무수당이 잘 나오고, 직장어린이집도 있어서 육아하면서 일하기 좋아요.”

2) 지방직 근무 후기

서울시청 7급 C씨 (공무원닷컴, 2023)

  • “서울시는 연가 사용이 자유로운 편이에요. 눈치 볼 일이 거의 없습니다.”
  • “2년마다 부서를 옮기는데, 새로운 업무 배우느라 스트레스 받을 때도 있어요.”
  • “민원인 응대가 많은 부서라 그게 제일 힘들어요. 하지만 보람도 있습니다.”

경기도청 7급 D씨 (사람인, 2023)

  • “출퇴근 시간은 엄격한 편입니다. 9시 정시 출근해야 해요.”
  • “업무는 타이트하지만 정시퇴근이 보장되어서 저녁 있는 삶을 살 수 있어요.”
  • “복지카드로 연간 200만원 정도 지원받아서 좋아요.”

3) 교육청 근무 후기

서울시교육청 7급 E씨 (고시마당, 2023)

  • “교육청은 방학때 휴가쓰기가 어려워요. 학교 행정업무가 몰리는 시기거든요.”
  • “다른 부처보다 조직문화가 수평적인 것 같아요.”
  • “교육 관련 업무라 보람은 있지만, 학교와 조율하는 게 쉽지 않아요.”

4) 세무직 근무 후기

중부지방국세청 7급 F씨 (잡코리아, 2023)

  • “세무직은 업무가 명확해서 좋아요. 하지만 책임감이 많이 필요한 일이에요.”
  • “tax season에는 야근이 많습니다. 2~3달 정도는 바쁘게 일해요.”
  • “일반직보다 전문성이 요구되어서 자기계발이 필수입니다.”

5) 장단점 요약

장점 (공통적인 의견)

  • 워라밸: “대부분 정시퇴근이 가능하고 휴가사용이 자유로움”
  • 고용안정: “정년이 보장되어 있어 안정적인 커리어 가능”
  • 복지: “각종 수당과 복지카드 등 복리후생이 좋음”

단점 (공통적인 의견)

  • 승진: “승진이 늦고 경쟁이 치열함”
  • 인사이동: “잦은 부서이동으로 전문성 쌓기 어려움”
  • 보수: “민간 대기업보다는 급여가 낮은 편”

*본 후기는 2023년 잡코리아, 사람인, 고시마당, 공무원닷컴 등에 게시된 실제 현직자 후기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작성자의 이름은 알파벳으로 대체하였습니다. 근무 부서와 개인의 성향에 따라 실제 경험은 다를 수 있습니다.

추천 글

  • 코레일 기관사 연봉 | 승무원 연봉 (2025)

    2025년 코레일 기관사 연봉은 신입 3,600만 원~4,000만 원에서 시작해 경력 20년차에 9,000만 원까지 가능합니다. 승무원 연봉은 신입 3,200만 원~3,956만 원,…

  • 소방관 되는법 | 소방관 시험 과목, 난이도

    소방관 되는법은 두 가지 채용 방식이 있습니다. 공개경쟁채용(공채), 경력경쟁채용(경채)의 선발 과정에 대해 정리했습니다. 1. 소방관 되는 방법 국가직 소방공무원 채용…

  • 소방공무원 시험 가산점, 경쟁률, 연봉

    소방공무원은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숭고한 직업입니다. 높은 경쟁률에도 불구하고 매년 수많은 지원자들이 도전하고 있으며, 안정적인 급여와 다양한 보직 기회가…

  • 군무원 월급(연봉), 군무원 채용 시험 경쟁률

    군무원은 군대 조직에서 일하는 공무원으로, 안정적인 신분 보장과 높은 복지 혜택을 제공받으며 국방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최근 공무원 시험의…

  • 경찰 공무원 시험 경쟁률, 경찰 공무원 월급

    경찰 공무원은 공정한 법 집행과 시민의 안전을 책임지는 중요한 직업입니다. 높은 경쟁률에도 불구하고 매년 많은 수험생들이 도전하고 있으며, 안정적인 급여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