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정적인 직업과 합리적인 급여를 제공하는 7급 공무원. 2024년 기준 초봉 약 2,900만원에 시작하여 호봉이 오를수록 증가하는 급여 체계와 다양한 복리후생을 제공받을 수 있는 매력적인 직업입니다. 하지만 높은 경쟁률과 까다로운 시험 과정을 통과해야 하는 만큼, 철저한 준비가 필요합니다.
   
1. 7급 공무원 연봉 (월급) 1) 기본급여 체계 기본급여 정보 신규임용 초임 : 약 2,900만원 (본봉 기준)실수령액 : 약 240-250만원 (세전 기준, 각종 수당 포함)연봉 범위 : 1호봉 약 2,900만원 ~ 32호봉 약 6,800만원승진 시 : 6급 승진 시 기본급 약 20% 인상호봉 체계 총 호봉 수 : 1호봉 ~ 32호봉호봉 상승 : 매년 1호봉씩 자동 상승호봉간 차이 : 평균 10-15만원 (본봉 기준)2) 수당 및 인센티브 기본 수당 정액급식비 : 월 14만원직급보조비 : 월 25만원교통보조비 : 월 20만원가족수당 :배우자 4만원 직계존속・자녀 2만원 (자녀 2인 제한) 특별 수당 초과근무수당 : 시간당 약 14,000원명절상여금 : 연 2회, 기본급의 60%정근수당 : 연 2회, 기본급의 50%성과상여금 : 연 1회, 성과평가에 따라 차등지급3) 복리후생 제도 휴가 및 연차 연가 : 연간 21일 (1년 미만은 월 1.75일)병가 : 연간 60일공가 : 법정 의무수행, 교육훈련 등 필요기간특별휴가 : 결혼 , 사망, 출산 등퇴직 관련 혜택 퇴직금 : 평균임금 × 재직년수퇴직수당 : 1년 이상 20년 미만 재직 시 기준소득월액 × 재직년수 × 1.5연금 : 공무원연금 별도 적용
   
4) 기타 경제적 혜택 4대 보험 및 의료혜택 건강보험 : 공무원 본인 부담률 50% 감면공무원연금 : 퇴직 후 연금 수령단체보험 : 생명보험 , 상해보험 가입복지포인트 기본포인트 : 연간 400포인트 (1포인트=1,000원)근속포인트 : 1년당 10포인트 추가가족포인트 : 배우자 100포인트, 직계가족 1인당 50포인트사용범위 : 건강관리, 자기계발, 여가활동 등*본 내용은 인사혁신처 보수규정과 공무원보수공무원수당 등의 업무처리 기준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실제 급여는 근무지역, 부서, 개인 상황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공무원 준비생 고민 9급, 7급 
2. 7급 공무원 하는일 1) 7급 공무원의 기본 직무 일반적 업무 특성 중간관리자급 역할  수행6급 이상 상급자의 지시를 받아 실무 총괄 8,9급 하위직급 업무 지도 및 관리 정책과 실무를 연결하는 가교 역할 문서 작성 및 관리 공문서 기안 및 검토 보고서, 계획서 등 중요 문서 작성 부서 내 문서 관리체계 운영 정책 제안서 및 검토의견 작성 2) 직렬별 세부 업무 행정직 일반행정 :정책 집행 계획 수립 민원사무 처리 및 관리 각종 통계자료 분석・관리 인사행정 :인사기록 관리 채용・승진 관련 업무 교육훈련 계획 수립 기술직 공업직 :기술 정책 수립・집행 시설물 안전진단 관리 기술 규정 제・개정 시설직 :건축・토목 설계 검토 공사 감독 및 준공검사 시설물 유지보수 관리 3) 부서별 주요 업무 기획・예산 부서 정책 기획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 주요 정책사업 성과관리 업무계획 수립 및 조정 예산 관리 :예산 편성 및 집행 재정분석 및 성과평가 예산 조정・통제 총무・인사 부서 조직 관리 :복무 관리 :근태관리 시스템 운영 직원 후생복지 관리 교육훈련 실무 4) 대민 서비스 업무 민원 처리 일반 민원 :각종 증명서 발급 민원 상담 및 안내 민원처리 시스템 관리 전문 민원 :인・허가 관련 업무 각종 등록・신고 처리 법령 해석 및 적용 대민 소통 정보 제공 :행정정보 공개 업무 주민설명회 운영 보도자료 작성 의견 수렴 :주민 의견 수렴 공청회 운영 지원 민원분석 및 정책 반영 
   
5) 행정 지원 업무 내부 행정 회계 관리 :자산 관리 :물품 구매・관리 시설 유지보수 관리 재물조사 실시 기록 관리 문서 관리 :공문서 분류・보관 기록물 정리・이관 보존문서 관리 정보 관리 :행정정보시스템 운영 데이터베이스 관리 정보보안 업무 *본 내용은 행정안전부, 인사혁신처, 각 지방자치단체의 직무기술서를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실제 업무는 배치된 부서와 기관의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7급 공무원 퇴사 이유 
3. 7급 공무원 시험 정보 1) 기본 정보 응시 자격 학력/경력 : 학력 제한 없음연령 : 만 20세 이상 (최소 연령만 제한)응시 횟수 : 제한 없음국적 : 대한민국 국적 보유자 (복수국적자 응시 가능)신체조건 : 제한 없음응시 제한 사항 공무원 임용 결격사유 가 있는 자공무원 퇴직자  중 재임용 제한기간이 경과되지 않은 자징계면직 후 5년이 경과되지 않은 자 2) 시험 과목 구성 필수 과목 제1차 시험(선택형 필기) 국어 (한문 포함) 영어 (영어능력검정시험으로 대체) 한국사 (한국사능력검정시험으로 대체) 제2차 시험(선택형 필기) 영어 및 한국사 과목 대체 기준 영어 : TOEIC 700점, TOEFL(IBT) 90점, TEPS 340점, FLEX 625점, G-TELP 65점(level 2) 이상한국사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2급 이상
   
3) 시험 절차 및 방법 시험 단계 제1차 시험 : 공직적격성평가(PSAT)제2차 시험 : 전공과목 평가제3차 시험 : 면접시험시험 접수 방법 접수 사이트 : 사이버국가고시센터(www.gosi.kr )제출 서류 :응시원서 1부 영어・한국사 성적 증명서 가산점 관련 증빙서류 (해당자에 한함) 4) 가산점 제도 자격증 가산점 정보화 자격증 : 정보관리기술사(4%), 정보처리기사(3%), 정보처리산업기사(2%)직렬별 가산점 :취업지원대상자 가산점 취업지원대상자: 과목별 만점의 5% 또는 10% 의사상자: 과목별 만점의 3% 또는 5% 5) 합격자 결정 방법 차수별 합격 기준 제1차 시험 : 매 과목 40% 이상, 전 과목 평균 60% 이상 득점자 중 고득점자제2차 시험 : 매 과목 40% 이상, 전 과목 평균 60% 이상 득점자 중 고득점자최종 합격자 : 제2차 시험 성적 + 제3차 시험(면접 ) 성적 고득점자추가 합격자 선발 최종합격자가 임용되는 것을 포기하는 등의 사정으로 결원을 보충할 필요가 있을 때 합격자 발표일로부터 6개월 이내 제2차 시험 성적순으로 추가 합격자 결정 *본 내용은 인사혁신처와 사이버국가고시센터의 공식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세부 사항은 매년 발표되는 공고문을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4. 7급 공무원 시험 경쟁률 1) 최근 경쟁률 통계 연도별 경쟁률 추이 연도 모집인원 출원인원 경쟁률 최종합격인원 2023 1,538명 71,259명 46.3:1 1,492명 2022 1,602명 73,294명 45.8:1 1,557명 2021 1,677명 78,365명 46.7:1 1,623명 2020 1,524명 69,894명 45.9:1 1,498명 
직렬별 경쟁률 (2023년 기준) 직렬 모집인원 출원인원 경쟁률 행정직 924명 45,276명 49.0:1 기술직 412명 18,248명 44.3:1 세무직 126명 5,292명 42.0:1 검찰직 76명 2,735명 36.0:1 
   
2) 시험 단계별 합격률 필기시험 합격률 구분 응시인원 합격인원 합격률 1차 PSAT 58,426명 8,763명 15.0% 2차 전공 8,456명 2,184명 25.8% 
면접시험 합격률 구분 응시인원 최종합격 합격률 면접심사 2,184명 1,492명 68.3% 
3) 지역별 합격 현황 권역별 합격자 분포 (2023년) 지역 모집인원 최종합격 경쟁률 수도권 846명 832명 52.1:1 영남권 298명 285명 43.2:1 충청권 186명 179명 41.5:1 호남권 164명 156명 40.8:1 강원권 44명 40명 38.6:1 
4) 시험 준비 기간 통계 합격자 평균 준비 기간 준비기간 비율 1년 미만 15.3% 1~2년 42.7% 2~3년 28.4% 3년 이상 13.6% 
합격자 평균 응시횟수 응시횟수 비율 1회 22.8% 2~3회 45.6% 4~5회 21.4% 6회 이상 10.2% 
출처 : 본 통계는 인사혁신처 및 사이버국가고시센터의 공식 자료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실제 경쟁률과 합격률은 연도별, 직렬별, 지역별로 변동될 수 있습니다.
공무원 월급 실수령액 공개 
5. 7급 공무원 현직자 근무 후기 1) 중앙부처 근무 후기 기획재정부 7급 A씨 (잡코리아, 2023) “출퇴근 시간이 자유롭고 유연근무제가 잘 되어있어요. 코어타임(10시-4시)만 지키면 됩니다.” “업무강도는 부서마다 매우 달라요. 예산실은 야근이 많지만, 일반 부서는 정시퇴근이 가능합니다.” “신입이라 그런지 업무 배우는데 시간이 많이 걸렸어요. 공문서 작성이 특히 어려웠습니다.” 행정안전부 7급 B씨 (고시마당, 2023) “서울청사 근무중입니다. 통근버스가 있어서 출퇴근이 편해요.” “일이 갑자기 몰릴 때가 있는데, 그럴 때는 야근도 합니다. 보통 국회 업무가 있을 때예요.” “초과근무수당이 잘 나오고, 직장어린이집도 있어서 육아하면서 일하기 좋아요.” 
   
2) 지방직 근무 후기 서울시청 7급 C씨 (공무원닷컴, 2023) “서울시는 연가 사용이 자유로운 편이에요. 눈치 볼 일이 거의 없습니다.” “2년마다 부서를 옮기는데, 새로운 업무 배우느라 스트레스 받을 때도 있어요.” “민원인 응대가 많은 부서라 그게 제일 힘들어요. 하지만 보람도 있습니다.” 경기도청 7급 D씨 (사람인, 2023) “출퇴근 시간은 엄격한 편입니다. 9시 정시 출근해야 해요.” “업무는 타이트하지만 정시퇴근이 보장되어서 저녁 있는 삶을 살 수 있어요.” “복지카드로 연간 200만원 정도 지원받아서 좋아요.” 3) 교육청 근무 후기 서울시교육청 7급 E씨 (고시마당, 2023) “교육청은 방학때 휴가쓰기가 어려워요. 학교 행정업무가 몰리는 시기거든요.” “다른 부처보다 조직문화가 수평적인 것 같아요.” “교육 관련 업무라 보람은 있지만, 학교와 조율하는 게 쉽지 않아요.” 4) 세무직 근무 후기 중부지방국세청 7급 F씨 (잡코리아, 2023) “세무직은 업무가 명확해서 좋아요. 하지만 책임감이 많이 필요한 일이에요.” “tax season에는 야근이 많습니다. 2~3달 정도는 바쁘게 일해요.” “일반직보다 전문성이 요구되어서 자기계발이 필수입니다.” 5) 장단점 요약 장점 (공통적인 의견) 워라밸 : “대부분 정시퇴근이 가능하고 휴가사용이 자유로움”고용안정 : “정년이 보장되어 있어 안정적인 커리어 가능”복지 : “각종 수당과 복지카드 등 복리후생이 좋음”단점 (공통적인 의견) 승진 : “승진이 늦고 경쟁이 치열함”인사이동 : “잦은 부서이동으로 전문성 쌓기 어려움”보수 : “민간 대기업보다는 급여가 낮은 편”
   
*본 후기는 2023년 잡코리아, 사람인, 고시마당, 공무원닷컴 등에 게시된 실제 현직자 후기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작성자의 이름은 알파벳으로 대체하였습니다. 근무 부서와 개인의 성향에 따라 실제 경험은 다를 수 있습니다.